학술자료실

학술활동

Unwed Mothers Initiative for Archiving & Advocacy

학술자료실

제목<단행본> 고아, 족보 없는 자 - 근대 국민국가 개인2025-02-09 17:06
작성자 Level 10
  • 저자: 권은혜, 김아람, 김청강, 박선주, 오경환, 허병식, 홍양희
  • 기획: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 엮자: 박선주, 오경환, 홍양희
  • 제목: 고아, 족보 없는 자 - 근대 국민국가 개인
  • 출판사: 책과함께
  • 발행일자: 2014. 05. 15.
■ 책 소개
고아라는 비유를 통해 이 책에 모인 글들이 집합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불가능한 비교, 혹은 최소한 비대칭적 비교이다. 이 책은 고아라는 주제에 담긴 표면적인 공통성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다름’이 어떻게 고아라는 비유 안에서 다양한 층위로 쌓이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오이디푸스와 프랑켄슈타인은 특정한 의미망 안에서만 고아이지만, 고아라는 명사의 유적(類的) 특성은 이들의 다름을 보여주기보다는 은폐한다. ‘환과고독(鰥寡孤獨)’이라는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고아 의식과 그 몇 세대 후 이광수의 의식 세계에 자리한 뿌리 깊은 고아 의식은 같은 용어로 표현되는 ‘다름’의 전형적인 예이다. 더구나 공통성에 기반을 둔 비교는 결국 위계를 확인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조선 전기의 ‘고아’ 정책이 비슷한 시기의 프랑스 ‘고아’ 정책보다 선진적이거나 후진적이었다는 언명은 공통성의 비교가 지닌 위험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이 책에 실린 글들이 병치되어 배열되어 있다고 해서, 식민지 조선의 사생아와 미국의 일본인 수용소 수감자들을, 혹은 프랑켄슈타인과 19세기 파리의 고아들을 ‘비교’하려는 의도를 지녔다고 보아서는 곤란하다. 오히려 각각의 고아는 그들을 만들어내는 세계의 다름을 표출한다. 이 다름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까닭은 공통성의 비교가 결국 특정한 형태의 세계의 이해 - 아마도 우리가 근대성이라고 명명하는 무엇 - 의 반복일 뿐이라는 저자들 공통의 인식 때문이다. 

■ 작가 소개 
권은혜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로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인종민족젠더가 20세기 아시아계 미국인 역사에서 교차적으로 드러나는 방식 연구했고, 논문으로는 “Interracial Marriages Among Asian Americans in the U. S. West, 1880~1954”(박사학위논문), 인종간 결혼에 대한 법적 규제와 사회적 금기를 넘어서: 1880년에서 1945년까지 미국 서부에서 아시아계 남성과 결혼한 백인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김아람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으로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했다. 현재 한국현대사회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논문으로 「5.16군정기 사회정책-아동복지와 ‘부랑아’ 대책의 성격」, 1970년대 주택정책의 성격과 개발의 유산 등이 있다.

김청강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로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했다. 논문으로 현대 한국의 영화 재건 논리와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함의(1945~60)악극, 헐리우드를 만나다-195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혼종성에 드러나는 식민성과 탈식민적 근대성의 문제들, 공저로 딱지본 대중소설의 발견 등이 있다.

박선주 
인하대학교 조교수로 미국 메사추세츠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했다. 트랜스내셔널 문학, 현대 영미문학 전공이다. 논문으로 트랜스내셔널 문학: (국민)문학의 보편문법에 대한 문제제기피의 역사와 기억의 주체: 카릴 필립스의 ‘피의 본성’에 나타나는 ‘우리’의 산재성(부)적절한 만남: 번역의 젠더, 젠더의 번역 등이 있다. 

오경환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근대유럽사 전공이며, 논문으로 "Republican Duties: Depopulation, the social question and the rise of the welfare state in France, 1880~1914", 근대 사회과학의 아포리아 등이 있다.

허병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연구교수로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식민지 시기의 문화와 문학지리학 연구했다. 논문으로 식민지의 접경, 식민주의의 공백, 장소로서의 동경 등이 있고, 공저로 『고도의 근대』, 이동의 텍스트횡단하는 제국 등이 있다.

홍양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로 한양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식민지 가족사/여성사 전공이다. 논문으로 식민지시기 가족 관습법과 젠더 질서식민지 조선의 ‘본부 살해’ 사건과 재현의 정치학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편저로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 역서로 조선풍속집 - 제국의 경찰이 본 조선풍속 등이 있다.

#고아# 근대# 국민국가# 개인# 혼혈# 혼혈인# 입양# 미혼모# 사생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