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실

학술활동

Unwed Mothers Initiative for Archiving & Advocacy

학술자료실

제목<학위논문> The elite of the fallen - The origins of a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1880-19302024-10-17 15:51
작성자 Level 10
  • 저자: Feder, Elizabeth
  • 제목: The elite of the fallen - The origins of a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1880-1930
  • 유형: PhD Thesis
  • 발행연도: 1991
  • 발행기관: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hilosophy

■ 요약
본 연구는 미국에서 미혼모에 대한 문화적 정의와 이 새로운 개념이 감독/통제로 기능하는 사회 정책에 통합되어 가는 과정을 분석한다. 종교적 담론(복음주의)과 전문적 담론(사회복지사) 속의 미혼모는 단순히 혼외 출산을 한 여성이 아니었다. 미혼모 경험의 의미가 문화적으로 구성되면서 미혼모는 올바른 사회 질서를 논의하는 상징적 저장소가 되었다. 이 글은 다양한 집단이 적법하게 태어난 아이와 사생아, 정상과 일탈로 구별짓는 방식을 설명함으로써 사회적 이분법의 생산과 활용을 조명한다. 
복음주의 분야에서 사용하는 가정에 대한 언어와 공공의 이익을 표방하는 사회복지 분야의 주장은 모성의 '자연스러움naturalness'을 강조하고 사회적, 경제적으로 구성된 기존의 가족 제도를 강화하여 혼외 출산을 통제하는 정책으로 이어졌다. 대중의 논의를 미혼모 니즈에서 아동의 권리와 공중 보건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회복지사는 자신들의 전문가로서의 권한을 "혼외 가족"으로 확장하여, 1910년대와 1920년대 국가의 집행 권한과 복음주의 자선단체가 운영하는 미혼모 시설에서 구축한 관행을 통합하는 법 제정을 촉진했다. 모유 수유를 의무화하고, 사생아에 대한 공공 후견권을 부여하고, 친부 책임을 법적으로 강화하는 정책은 모두 인도주의적이고 자유주의적 목표를 표방했지만, 동시에 사회적 규제를 확장하는 것이었다. 이는 근대 규율 국가의 초기 사례에 해당한다.  
또한 이 연구는 미혼모 스스로가 취한 행동과 경험을 다룬다. 미혼모 시설의 사례집은 공공 정책이 만들어낸 어린 미혼모라는 전형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은 부분적이며 편의주의에 기초한 것이란 점을 강조할 것이다.  
이 연구는 현대 미국 복지 시스템이 단순히 옛 제도가 새로운 제도로 대체된 결과가 아님을 보여준다. 사회 정책은 복음주의자, 사회복지사, 미혼모 당사자 간 협상의 결과물이다. 이 논문은 복음주의 자선 활동에서 사회복지 전문가의 일로, 사적 복지에서 공공 복지로, 종교적 개념에서 세속적 개념으로 사회 개혁에 대한 담론이 전환된 과정을 추적하면서 이전의 방식이 중요한 유산이 되어 지속되었음을 보여줄 것이다.  

■ 초록
This study analyzes cultural definitions of the unwed mother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rocess by which emerging conceptions were incorporated into a social policy of supervision. To both evangelical charity workers and social workers, the unwed mother was never simply a woman who had given birth outside of legal wedlock; the meaning of her experience was culturally constructed so that she became the symbolic repository for a discussion of the proper ordering of society. By describing the methods by which various parties drew distinctions between legitimacy and illegitimacy, normal and deviant, this work illuminates the production and uses of social dualities. 

Both the language of evangelical domesticity and social workers' arguments in behalf of the public good led to policies governing maternity outside wedlock that reinforced the "naturalness" of motherhood and the existing social and economic arrangements of the family. Shifting public debate away from mothers' needs toward children's rights and public health enabled social workers to extend their professional authority to the "illegitimate family" and facilitated passage of laws in the 1910s and 1920s that united the state's power of enforcement with practices forged in the evangelical maternity home. Policies such as mandatory breast feeding, public guardianship of illegitimate children, and court enforced paternal accountability all expressed humanitarian and liberalizing aims while simultaneously extending social regulation. They represent early examples of the modern disciplinary state. 

The study also considers the unwed mothers' experiences and actions in their own behalf. Maternity home case records challenge the stereotypes of these young women from which public policy was created, highlighting their partial and expedient nature.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modern American welfare system was not simply the result of the usurping of an old system of alliances by a new one. Social policy represented the outcome of negotiations between evangelicals, social workers, and the unwed mothers themselves. In tracing the transition from evangelical charity work to professional social work, private to public welfare, and religious to secular conceptions of refor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mportant vestiges of older patterns persisted. 

#미혼모# 사회복지# 복음주의# 혼외출산# 이분법# 모성# 미국# 1950년대_이전# 미혼모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