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명: "미혼모의 유아 암시장 성업, 미상원 법적 문제로 청문회 열어"
- 부제: 공급 달려 서독서 임부 공수해 오기도, 마이에미선 버젓이 '신생아 농장' 경영
- 게재지: 경향신문
- 게재일시: 1975년 5월 17일
- 내용 요약 :
5년 전만 해도 미혼모 중 80%가 낙인으로 인해 아기를 포기했지만 지금은 미혼모를 별로 수치스럽게 여기지 않아 미혼모 80%가 아기를 기르기를 희망한다고 한다. 이로 인해 건강한 백인 아이들이 부족하게 되자 유아 시작이 생기고 이 시장이 국제화되어 가고 있다. 어떤 변호사는 서독의 임산부를 미국으로 실어왔고 프랑스와 남미에까지 무대를 확장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애미에서는 수명의 변호사가 '신생아 농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여기에는 10대가 포함된 임산부가 출산할 때까지 6-7명이 한 집에 모여 생활하도록 되어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서구 사회의 미혼 임신과 출산에 대한 차별과 낙인은 심했다. 결과적으로 수십 만 명의 백인 미혼모에게서 태어난 아기들이 기혼 부부 가정으로 입양 보내졌다. 이 시기를 ‘아기 퍼가기 시대’라고 부른다 (참조: 캐런 윌슨-부터바우 『아기 퍼가기 시대: 미국의 미혼모, 신생아 입양, 강요된 선택』 ). 하지만 1970년대에 들어서 제2의 페미니즘 물결 영향으로 여성들의 성적자기 결정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혼모가 더는 아기를 포기하지 않고 양육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입양할 아기가 없어지자 미국에서는 미혼모의 아기를 확보하고자 아동 거래 암시장이 형성되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인종간 국제입양이 증가하게 되었다. 1970년대 이후 한국에서 미혼모 아기의 해외입양 급증은 이러한 미국 내 입양 시장의 변화와도 긴밀한 관계가 있다. 기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