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명: 사회구조 속의 미혼모: 미혼모 이대로 좋은가 <특집>
- 게재지: 『가정의 벗』 169호, pp.16-21
- 게재일: 1982년 9월
- 발행: 대한가족계획협회
- 내용요약:
물론 정식 결혼을 안 했더라도 아이 아버지가 이들을 보호하고 양육하는 책임을 진다면 커다란 사회문제로 간주될 수는 없을 것이다. 오늘날 미혼모 급증 현상은 1) 급속한 산업사회화로 인한 농촌지역 여성인력의 도시 전입 2) 부모의 통제력 쇠퇴 3) 성지식에 관한 무지 등이 원인이다. 미혼모 문제는 요보호 대상자가 증가한다는 문제 뿐 아니라 정부의 인구억제 정책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홀트아동복지회 사례를 보면 1) 가난하고 불행한 가정환경 2)도시 생활을 동경한 가출 3) 불륜 4) 생부의 잠적, 유부남 가정 불화(로 혼외자를 맡아 길러주지 않는 경우) 미혼모가 발생한다. 오늘 날 젊은이들에게 확고한 생활태도를 심어주고, 성교육을 강화하고 미혼모 대상의 상담 및 보호 체계를 만들고 계몽하여 미혼모라는 사회병리적 현상을 근소화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윤종주,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원문보기 |